WHITE ROCK CANYON

GARY KOMARIN 2nd SOLO EXHIBITION

About

Exhibition Details

2022.11.15 - 12.04


Artist

Gary Komarin

ABSTRACTION


Gary Komarin, who is also classified as a New York Post-Abstract Expressionism artist, was born in 1951 and was influenced by the work style of the time when the flow of art history moved to the United States after World War II and abstraction and expressionism created the New York school. Drip painting in which paint is freely dropped on the canvas, action painting that gives meaning to the act of painting in front of the canvas, and the artist's own memories are pictorially revealed without restriction of expression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omatic technique of Surrealism. He puts the canvas on the wall to make a sketch, then lays it on the floor, dipping the paint in a brush and sprinkling it. When he paints on the surface with a brush as long as a broom, the original sketches disappear and then he draws the shape again with crayons. Also, he moves to the opposite corner, pours paint, and redraws the previous shape as if it did not exist. He works as if this corner is the beginning, then he moves to the other corner and places a small piece of fabric on the canvas, thickly covering it with a similar color. For this reason, his abstract works do not have any distinction between top, bottom, and horizontal and vertical. Since he erected the canvas on the wall, laid it on the floor, rotated it, or moved himself from side to side, it can be viewed from all directions.

When the house paint is mixed with plaster and water to paint the canvas, the color of the faded paint and the natural matière created by the plaster are in harmony. In this way, he brings materials from non-artistic fields to express the desired texture. On the canvas, the paint traces that are properly mixed, the parts that are splashed and flowed, and the most obvious form drawn on the surface are freely mixed while fulfilling their respective roles. He draws the indefinite shapes that appear on the canvas and the colors seen in the background* with the same intention, but in different forms. You may be able to find something in this exhibition <Still Life with the French Wig>. You might see two small rocks or two sapphire rings in the blue figure. Komarin says that we humans have the ability to see the same thing differently according to our own experiences, so that everyone can find something meaningful to them and that's why we can like his work.


CAKE


The subject of cake began as a memory of a cake that his mother made without a recipe when he was young. He vividly conveys the memories through the background of a Cake topped with sweet cream and a bold pattern in which paints are freely splashed. On the other hand, his high Cake work gives a feeling similar to the appearance of a solidly built structure, which is heavily influenced by his father, who was an architect. The text CAKE, written at the top of all his Cake works, is placed like a name tag of the work, evoking typographical pleasure along with the shape.

He prefers materials such as industrial tarpaulins and paper bags rather than traditional painting media. He loses the original purpose for which they were made, reclaim the nature of paper, and is interested in becoming the basis for drawing. The torn edges of the paper bags and the clear boundaries created by pasting them together give him energy to start a new work. While his work brings the positive energy of the cake itself, there are elements that share the flow with abstract work, causing the audience to stop in front of the work. As with his abstract work, the color painted as a background is a mixture of several colors and becomes one, the layers are visible in the process of rubbing and bouncing the paint to shape and cover again. Also, the color placed in the background mixes with the Cake and its layers, and the ivory color paint in the background flows over the reddish purple color Cake, and the paint on the Cake flows into the background. In this part, the flow continues with his other abstract works.


VESSEL


“Whether for practical purposes or for religious ceremonies, every culture has had to find a way to contain and transport water or other liquids. I have long been fascinated by the structures and shapes of these containers, and I wanted to paint them in various ways.” His Vessel series is a direct example of his interest in ancient civilizations. This is why his works, which express ancient relics with modern interpretations, are welcomed not only by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but also by the Museum of Antiquities.** In addition to bottles, jars, and bowls, which are commonly conceivable forms of pottery, various forms such as prunus vase, kettle, and tureen are also dealt with, which shows how deeply interested in vessels he is. 

Among the prunus vases, the work depicting a round-bodied Vessel is seen as another abstract work, as the orange line indicating the outline of the Vessel extends toward the edge of the screen. In this way, he roughly paints the background in one tone, boldly creates the shape of a Vessel with paints of different colors, and then dips the paint several times in the corner and splashes it to form droplets and then let them flows down. The outline of the Vessel that is not drawn straight, the rough lines that extend out from the background, and the traces of splashing and spreading seem to express the time of ancient relics. The simple expression of two colors, one for the background and one for the Vessel, is the beauty of Vessel that he has been exploring for a long time. It seems impressive to him that even the most lavishly decorated vessel, although its color fades over time, and the corners break, its form remains firmly in place.


PALM TREE


He was impressed with the palm trees he saw in Miami as a child. He started working on palm trees in the early 1990s, recalling the memories of leaves fluttering in the wind on the tops of very tall tropical trees. Attach two paper bags that are slightly larger and wider at the top and smaller than that at the bottom, and roughly paint the background with different colors at the top and bottom. Then, by drawing a vertical line past the middle part, he draws the palm tree trunk, and the branches and leaves in interesting colors and shapes on the top. The interesting thing is that he tried to draw the part with leaves in a 'fun' way because it expresses the artist's flashy eyes when he was young, who thought palm trees were a fun shape. By expressing in this way, he said that through the Palm Tree, he will remind us that we are all always open to infinite possibilities. A mixture of childlike drawings and pictorial attributes, his works break away from the aesthetic approach and always return to pure paintings, but ironically they elicit many stories.



*Borrowing the concepts of 'form without matter' and 'form without matter' from the phenomenology of the German philosopher Edmund Husserl, Gary Komarin's work surface shows a clear but unknown composition. It can be interpreted by dividing all the brushstrokes and colors that are filled like a background on each layer. Content that does not exist in the form is completed and harmonized only in the absence of form.

**In 2014, MACM (Musée d'Art Classique de Mougins, France) exhibited a series of ceramics by Gary Komarin along with artifacts from ancient Greece and Rome.



ABSTRACTION


뉴욕의 후기추상표현주의 작가로 분류되기도 하는 작가는 1951년생으로 세계대전 이후 미술사의 흐름이 미국으로 옮겨가 추상과 표현주의가 뉴욕파를 만들어갔던 때의 작업 방식의 영향을 받았다. 캔버스에 자유롭게 물감을 떨어뜨리는 드립페인팅, 캔버스 앞에서 그림을 그리는 행위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는 액션페인팅, 작가 본인의 기억을 표현의 제약 없이 회화적으로 드러낸 것은 초현실주의의 자동기술법의 특징이다. 작가는 캔버스를 벽에 세워 스케치한 후 바닥에 눕혀 둔 채, 물감을 붓에 흥건히 머금고 흩뿌리기도 하고, 어느 지점에서는 그것들을 뭉개며 섞어 칠하기도 한다. 빗자루만큼 긴 브러쉬로 물감을 화면에 채워 넣으면 처음의 스케치 자국은 사라지는데 그 위에 다시 크레용으로 그 형상을 그린다. 혹은 반대쪽 모서리로 옮겨가 물감을 붓고 이전의 형상은 본래 없었던 것처럼 새로 그려 넣는다. 마치 이쪽 모서리가 시작인 것처럼 작업을 하다가, 다른 쪽 모서리로 옮겨 작은 천 조각을 캔버스 위에 올려 유사한 색으로 두껍게 덮는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추상작업은 위, 아래와 가로, 세로의 구분이 없다. 작가가 캔버스를 벽에 세우고, 바닥에 눕히고, 돌려가며, 혹은 저쪽과 이쪽을 옮겨 다니며 그렸기 때문에 모든 방향에서 감상이 가능하다.

하우스페인트에 회반죽과 물을 섞어 화면을 일차적으로 한 겹 칠하면, 색이 옅게 바랜 페인트의 색감과 회반죽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생긴 마띠에르가 조화를 이룬다. 작가는 이렇게 비예술적 분야의 재료를 가져와 원하는 질감을 표현한다. 화면에는 적절히 섞인 물감 자욱과 튀기고 흘러내린 부분, 그리고 가장 표면에 그려진 확연한 어떤 형태가 각자의 역할을 다하며 자유로이 섞여 있다. 작가는 화면에 등장한 부정형不定形의 형상들과 그 배경으로 보이는 색감들을 같은 의도로, 하지만 다른 형태로 그려낸다. 이번 전시작 <Still Life with the French Wig>에서 무언가를 찾아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파란색의 형상에서 작은 바위 두 개를, 혹은 사파이어 반지 두 개를 볼 수도 있다. 작가는 우리 인간이 각자의 경험에 따라 같은 것을 다르게 볼 수 있는 능력이 있어서, 모두가 그 자신에게 유의미한 것을 찾아낼 수 있고, 그렇기 때문에 그의 작품을 좋아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CAKE


케이크라는 소재는 어릴 적 그의 어머니께서 레시피 없이 만드시던 케이크의 기억에서 시작되었다. 작가는 달콤한 크림을 잔뜩 올린 케이크와 물감이 자유롭게 튀긴 과감한 패턴의 배경을 통해 그 기억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한편, 그의 높은 케이크 작업은 어떤 건축물이 단단하게 올라간 모습과 유사한 느낌을 주는데, 이는 건축가였던 아버지의 영향이 크다. 그의 모든 케이크 작업의 상단에 쓰인 CAKE라는 텍스트가 마치 작품의 이름표처럼 자리해 그 형상과 함께 타이포그래피적 쾌快를 불러 일으킨다.

작가는 전통적인 회화 매체가 아닌 산업 방수포와 종이봉투 같은 재료를 선호한다. 그는 이들이 만들어진 본래의 용도를 잃고 종이라는 성질로 돌아와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화면이 되는 것에 흥미를 느낀다. 종이봉투의 절단면이 찢어진 형태나, 이어 붙여 생긴 명확한 경계선이 그에게는 새로운 작업을 시작할 에너지가 된다. 그의 작업은 케이크 자체가 가지는 긍정적인 에너지를 차용하면서도 추상작업과의 흐름을 같이 하는 요소들이 있어 관객을 작품 앞에 멈춰 서게 한다. 배경으로 칠한 색은 그의 추상작업과 마찬가지로 여러 색깔이 한데 섞여 하나의 화면을 이루고 있는 것이고, 물감을 문지르고 튀겼다가 케이크 형상을 그렸다가 다시 덮기를 반복한 작업의 레이어도 보인다. 또, 배경으로 자리한 색이 화면에서 케이크와 그 층위가 섞이는데, 자주 빛의 케이크 위로 배경의 아이보리 색 물감이, 다시 케이크의 물감은 배경으로 흐르고 있다. 이런 부분에서 그의 다른 추상작업과도 흐름이 이어진다.


VESSEL


“실용적인 목적이든 종교적 의식이든 모든 문화에서는 물이나 다른 액체류를 담아 옮길 방법을 찾아야 했다. 나는 이 용기들의 구조와 모양에 오랫동안 매료되어왔고, 다양하게 변형시켜 그림을 그리고 싶었다.” 그의 도자기 시리즈는 그가 고대문명에 관심이 많았던 것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한 예다. 고대의 유물을 현대의 해석으로 표현한 그의 작품이 현대미술관뿐 아니라, 고대유물을 다루는 박물관에서도 환영받고 있는 이유다. 일반적으로 떠올릴 수 있는 도자기의 형태인 화병이나 항아리, 대접 외에도, 매병, 주자, 합 등 다양한 형태가 다루어지는 것으로 보아 그가 얼마나 도자기에 깊은 관심을 가지는지 알 수 있다. 매병 중에서도 몸통이 둥근 형태의 도자기를 그린 작품은, 도자기의 윤곽을 나타내는 주황색 선이 화면의 가장자리를 향해 뻗어 있어 또 다른 하나의 추상작품으로 보이기도 한다. 작가는 이처럼 배경을 하나의 톤으로 거칠게 칠하고, 다른 색의 물감으로 과감하게 도자기의 형태를 만들고, 물감을 구석에 몇 번 찍고 튀겨서 방울을 만든 후 흘러내리게 한다. 곧게 긋지 않은 도자기의 외곽선, 배경에 뻗어 나온 거친 선, 그리고 튀기고 번진 흔적들이 고대 유물의 시간을 표현하는 듯하다. 손잡이 부근부터 시작해서 그림의 끝까지 주욱하고 흘러내린 물감과, 배경과 도자기에 하나씩, 두 가지 색으로 단순하게 표현한 것은 그가 오래간 탐색했던 도자기의 아름다움이 아닐까. 제 아무리 화려한 장식을 한 도자기라도 시간이 지나면 색이 바래고, 구석이 부서지지만, 그것의 형태는 견고하게 제 자리를 지키고 있음이 그에게는 인상적이었던 듯하다.


PALM TREE


게리 코마린은 어린 시절 마이애미에서 봤던 야자수가 인상깊었다. 키가 매우 큰 열대의 나무 꼭대기에는 나뭇잎들이 바람에 나부끼고 있던 기억을 떠올리며 1990년대 초부터 야자수 작업을 시작했다. 위쪽이 조금 더 크고 넓고 아래쪽이 그보다는 작은 두 개의 종이봉투를 이어 붙이고, 위 아래에 각기 다른 색으로 배경을 거칠게 칠한다. 그리고 가운데 이어 붙인 부분을 지나게 세로로 선을 그어 우직했던 야자수 줄기를, 위로는 가지와 나뭇잎들을 재미있는 색과 모양으로 그린다. 독특한 점은, 작가가 잎이 있는 부분을 ‘재미있게' 그리려 했다는 것인데, 이는 야자수가 재미있는 모양이라고 생각했던 어린 시절 작가의 초롱한 눈을 표현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표현함으로써 작가는 야자수 작업을 통해 우리 모두가 언제나 무한한 가능성을 향해 열려 있음을 상기시킬 것이라고 한다. 어린 아이 같은 드로잉이 회화적 속성과 섞여 미학적인 접근을 언제나 순수한 회화로 돌려놓는 것이, 역설적이게도 작품에서 많은 이야기를 끌어낸다.



*독일의 철학자 에드문트 후설(Edmund Husserl)의 현상학에서 ‘형상 없는 질료’, ‘질료 없는 형상’ 개념을 빌리면, 작가 게리 코마린의 작업의 표면에서 보이는 형태는 명확하지만 무엇인지 알 수 없는 구성체들과, 각 레이어에 배경처럼 채워진 모든 붓터치와 색으로 나누어 해석할 수 있다. 형상에는 없는 내용이, 그것이 없는 화면에서 비로소 완성되어 조화를 이룬다.

**2014, MACM(Musée d'Art Classique de Mougins, 프랑스)에서는 게리 코마린의 도자기 시리즈들을 고대 그리스 로마의 유물과 함께 전시했다. 


Selected Works

Installation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