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ehoon Stark

About

Jihoon Stark's work blends the psychological emotions reliant on a child's pure gaze with the physical interpretations of his time as a strict architect, manifesting in metaphorical yet tangible spaces. By examining the structures imbued with dual perspectives, one can indirectly feel the everyday spaces the artist has experienced through multilayered colors and handwritten explanations. The themes, too, such as civilization and nature, East and West, past and present, micro and macro, are depicted on the canvas as binary opposites mingling together in a vacuum-like state. Stark varies his structural drawings into paintings, reinterprets discarded architectural materials into reliefs, and transforms architectural models into ceramic works, believing that such diverse media traversals allow for vigilance against habitual traces, thereby expressing the purity of painting. Consequently, all elements constituting his canvas create a synesthetic virtual world through organic relationships.


지훈 스타크의 작업은 순수한 어린이의 시선에 의탁한 심리적 정서와 엄정한 건축가의 시간을 지냈던 작가의 물리적 해석이 함께 교차되어 은유적이면서도 실제적인 공간으로 나타난다. 양면의 시선이 담긴 구조를 살펴보면 다층적인 색감과 손글씨 설명으로 작가가 경험했던 일상적 공간을 간접적으로나마 느껴볼 수 있다. 주제 역시 문명과 자연, 동양과 서양, 과거와 현재, 미시와 거시 등의 이항대립 요소가 마치 진공 상태처럼 화면에 녹아 들어 함께 떠돈다. 작가는 구조적 드로잉을 변주하여 회화로 재현하고, 버려진 건축 자재를 조합해 부조로 재해석하며, 건축 모형을 변용하여 도예 작업으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렇듯 다양한 매체를 오가는 작업을 통해 습관의 흔적을 경계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회화적 순수성을 표현할 수 있다고 한다. 때문에 그의 화면을 이루는 모든 요소들은 유기적인 관계를 통해 공감각적 가상세계를 만들어낸다.

Selected Works

Exhib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