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ack Echo
VIANI X Chulan Kwak Duo Exhibition
About
Exhibition Details
2025.05.14(Wed) - 06.14(Sat)
Artist
VIANI, Chulan Kwak
비아니 작가가 캔버스에 담아내는 ‘호의 형상’은 신체적 한계를 동반한다. 작가는 하나의 획처럼 표현된 궤적이 캔버스 위에서 어떻게 허용되는지를 탐구하며, 동시에 여백과의 조응도 놓치지 않는다. 그는 이를 ‘해방의 몸짓’이라 부르며, 심미적 명상의 행위에 가깝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 몸짓은 단지 형식의 해방에 머물지 않는다. 작가에게 있어 이 행위는, 어린 시절 겪은 베네수엘라의 정치적·사회적 탄압의 현장에서 파생된 시간의 그림자처럼 보이기도 하며 마치 두려움과 평화가 공존하는 존재만이 다가갈 수 있는 진실의 선악과처럼 보인다.
비아니 작가는 이중적 가치가 충돌하고 중첩되는 세계 속에서, 포용 대신 편향을 ‘안정’이라고 일컫는 세상에 의문을 던진다. 그는 존재의 본질과 자유를 향한 갈망을, 가장 강렬한 몸짓이자 절제된 조형 언어로 균형 있게 드러낸다. 진실은 때로는 불편하고, 느리고, 외롭고, 비효율적이지만 그 불편함과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사람만이, 끝내 진실에 도달할 수 있다. 그래서 비아니의 작품은 왜곡과 곡해로서의 추상이 아니라, 그가 바라는 다음 세계, 안정과 평온이 깃든 진실의 형상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곽철안 작가는 익숙한 프레임의 답습보다는, 경계를 유연하게 흔들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그는 “이것이 무엇인가”라는, 동시대 미술의 복잡하면서도 본질적인 질문을 끊임없이 던지고, 그 질문의 근원을 자신의 작업에 투영하며 실마리를 찾아간다. 그 과정은 기와를 재해석한 초기 작업에서부터, 나무로 이어져 재료가 허용하는 가능성을 믿고 실험하며 현상을 새롭게 창조하는 지점에까지 이른다. 한때, 재료의 물성과 완성도를 등한시한 채 작가의 심상 표현만을 강조했던 ‘개인기 중심’의 시대가 있었으나, 곽철안은 작가는 이러한 가학적 구조를 택하는 대신 시간이 걸리더라도 시스템과 물성의 상생을 믿는 동시대적 맥락 안에서 새로운 본질의 가치를 제시한다. 그는 유기적인 재료에 비폭력적인 방식으로 접근하여 단순한 조형을 넘어선 존재에 대한 존중과 이해를 불러일으킨다. 이를 통해 나뭇결을 타고 흐르는 미니멀리즘의 미학과 함께, 절제된 선율처럼 흐르는 조형의 질서를 보여준다.
곽철안 작가는 시대정신에 기민하게 반응하며 획이라는 단위에 응축되고 발산되는 에너지, 시간성, 방향성을 입체적으로 풀어낸다. 그가 보여주는 조형성은 단순한 미니멀리즘을 너머 우주적인 흐름이 머무는 하나의 지점이다.
두 작가의 작업은 시대의 굴레로부터 벗어나 자유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맞닿아 있다. 즉물적으로 반응하는 재료의 즉시성 속에서 그들은 감각의 촉수를 곤두세운 채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를 탐색해왔다. 경계를 명확히 나누지 않는 태도, 수많은 시도를 통해 본질에 천천히, 그러나 확실히 다가가는 태도는 작가로서의 윤리이자, 미적 신념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작업들은 단순한 취향의 문제가 아닌, 열린 담론을 형성하는 예술 행위로 확장된다. 인간의 신체와 작업 재료로부터 임의로 피어난 곡선의 향연, 우주를 품은 획에서 발산되는 에너지와 파동은 안정적인 궤도를 지나 궤적을 남기며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그 너머의 세계를 상상하게 만든다.
VIANI & Chulan Kwak Duo Exhibition
The “Figures of Arc” that artist VIANI renders on canvas are accompanied by physical limitations. He explores how the trajectory expressed as a single stroke is permitted on the canvas while maintaining harmony with the empty space. He refers to this act as a “gesture of liberation,” likening it to an act of aesthetic meditation. However, this gesture is not merely confined to the liberation of form. For the artist, it also represents the lingering shadow of time derived from the political and social oppression he experienced during his childhood in Venezuela. It is as though it embodies the forbidden fruit of truth — a fruit accessible only to those who dwell in the coexistence of fear and peace.
VIANI questions a world where dichotomous values clash and overlap, a world that labels bias as “stability” rather than embracing inclusion. He uses the most intense yet restrained gestures and a refined visual language to convey the essence of existence and the yearning for freedom. Truth, he suggests, can be uncomfortable, slow, lonely, and inefficient, but only those who can peacefully coexist with such discomfort can ultimately reach it. Thus, VIANI’s work does not present abstraction as distortion or misinterpretation, but as the form of truth he envisions in the next world — a realm imbued with stability and tranquility.
Chulan Kwak, on the other hand, presents a new paradigm by flexibly challenging familiar frameworks rather than adhering to conventional forms. He persistently asks the fundamental yet complex question, “What is this?” in contemporary art, projecting the essence of that inquiry onto his work as he searches for clues. This journey extends from his early works that reinterpreted tiles to his ongoing exploration with wood, where he experiments with the potential of materials, trusting in their inherent properties and reimagining phenomena.
There was once a time when the emphasis was placed solely on expressing the artist’s inner visions, neglect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materials and the quality of completion. Kwak, however, chooses not to follow this self-centered approach. Instead, he embraces a contemporary context that believes in the coexistence of systems and materiality, even if it takes time. He approaches organic materials with a non-violent methodology, evoking respect and understanding for existence that transcends mere form. Through this, he presents the aesthetic of minimalism flowing along the grain of wood, revealing a restrained yet fluid rhythm in his sculptural order.
Chulan Kwak sensitively responds to the spirit of the times, dynamically unfolding energy, temporality, and directionality condensed within the unit of a stroke. The formality he presents extends beyond minimalism, emerging as a focal point where cosmic currents converge.
The works of both artists converge in their pursuit of freedom, striving to break away from the constraints of the era. Amidst the immediacy of materials that react viscerally, they explore the infinite realm of possibilities with heightened sensory awareness. Their refusal to draw clear boundaries and their slow but deliberate approach to uncovering the essence through countless attempts reveal not only their artistic ethics but also their aesthetic convictions.
Selected Works












Installation Views